새로 산 컴퓨터에 대한 짤막 리뷰 IT

컴퓨터를 새로 샀습니다.
이미 8까지 나왔지만 드디어 저도 XP에서 7으로 넘어가네요. ㅎ

이 컴퓨터를 사기까지는 이래저래 가성비를 극강으로 올리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의 연속이었습니다.
군대에서 남는 잉여잉여 시간동안 인트라넷 커뮤니티를 돌며, 컴퓨터에 대한 지식을 쌓고 쌓아 만든 결정체(?)입니다.

혹시 지금 컴퓨터를 생각하고 계시는데,
1. 돈이 매우 없다.
2. 그런데 일단 게임을 많이 하는건 아닌데, 가끔씩 하기 때문에, 게임은 최저옵정도라도 돌아가야 한다.
3. 나중에 업그레이드하긴 귀찮다.
4. 무난하게 3년이상 써야 된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이 리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저도 생각하지만 이 견적 정말 손봐야 할 만한 데가 많습니다. 
일단 CPU는 몇만원만 더 주면, A10까지 올라갈 수 있고,
(A4-6-8-10순으로 CPU가 좋아집니다.)
램도 요즘 맞추는 컴들은 8GB가 좋고,
파워도 기왕이면 슈플이나 FSP로 가는게 좋습니다.
그렇게만 하면, 지금보다 훨씬 좋은 PC를 맞출 수 있습니다?!



그래 그게 다 돈이다!!!

기준 1번 돈이 없습니다. 뭔 업글입니까, 어떻게든 최저옵에서 그럭저럭 돌아가는 한계치로만 맞추면 되지.
제 견적은 어디까지나 돈없는 30만원 초반의 견적에 불과합니다. ㅠㅠ
저같은 경우는 이렇게 견적을 뽑아서 현금들고 용산가서 만들었습니다. 보통 아무리 최저가라고 해도,
저 가격에 2만원 수준의 조립비가 붙습니다만, 저같은 경우 저렇게 맞추고 조립까지 33만5천원에 해결봤습니다.
(아이러브컴 사장님 감사합니다. ㅎㅎ)



1. CPU : A6 5400K
AMD에서 만든 APU의 중간 라인업인 A6 5400K입니다.
무려 3.8Ghz까지 올라가지만, 듀얼코어입니다. ㅠㅠ
그리고 AMD는 hz당 성능이 인텔한테 크게 뒤집니다.
(즉 그냥 CPU성능은 인텔한테 발립니다.)

하지만, 이 제품의 장점은 내장 그래픽에 있습니다.
별다른 그래픽카드 없이 LOL을 비롯한 캐쥬얼 게임 정도는 무리 없이 돌리고,
와우같은 3D도 옵션타협(사실상 최저옵)하면 큰 불편없이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실제 테스트 해 본 것은 사이퍼즈 밖에 없네요.
중저옵사양에서 렉없이 잘 돌아가더군요. 아마 비슷한 사양의 게임들도 무난하게 돌아갈 것 같습니다.
위 링크에 A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2. 메인보드 : 이엠텍 Hi-Fi A75S3
AMD 트리니티 계열의 메인보드를 만드는 회사는 사실 몇 없습니다.
기가바이트
에즈락
ECS
이엠텍
제가 알기로는 현재 딱 이 4개 회사만이 저 CPU를 지원합니다.
보통 가성비 면에서는 에즈락을 많이 꼽기도 하지만, 저같은 경우는 뛰어난 AS를 가지고 있는 이엠텍 쪽을 선택했습니다.

제품 명에 HI-FI라고 적혀있길래 별거 있나 봤지만, 그냥 사운드 카드가 다른 메인보드보다
좀 나은거 쓴 것일 뿐입니다.(그마저도 외장 사카에 비하면 별거 아님 -_-;;)


3. RAM : 삼성전자 DDR3 4GB
램은 선택권 따위 없습니다. 우리 삼성느님이 최곱니다.
(가끔 돈많은 사람들이 G.SKILL같은 비싼 램을 쓰기도 하지만, 일반인은 삼성이면 끝이라는)
가격도 많이 내려서 2만5천원 수준이면 4G를 땡치기 때문에 보통은 2개 사서 8GB로 씁니다만,
저는 그 2만5천원 마저 위태한 상황이여서 4GB만 샀습니다. ㅠㅠ
물론 후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긴 합니다만, 귀찮습니다.


4. HDD : WD 1TB
애니를 보는데 최소한 하드는 1TB정도는 되야지!


아무리 가난해도 하드는 커야 된다!!!


ODD : 삼성전자 SH-222BB
가격도 크게 안비싸고, 벌크 제품이 많기 때문에
적당히 아무거나 골랐습니다. 블루레이까지 생각하지 않으시면 이정도면 충분합니다.

케이스 : ABKO NCORE 헥사곤
ABKO가 듣보잡 업체라던가 그런건 아닙니다. 다크나이트라는 케이스계에서는 알아주는 놈을 뽑기도 했고요.
이 제품은 4만원 이상의 중급 케이스랑 비교할 경우 이리저리 밀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2만원 대에서는 이정도하는 케이스는 없다고 봅니다.
비록 파워가 상단에 달렸지만(중급 이상 케이스는 대부분 하단에 파워가 달립니다. 그 쪽이 공기 흐름에 더 좋다고 합니다.)
120mm 팬이 전,후면 둘다 달려있기 때문에 쿨링 성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사실 외장그래픽도 없는 제 컴퓨터엔 아까울 정도입니다. ㅋㅋ

하지만 무엇보다 제가 이 케이스를 선택하건, 파워랑 합본팩이 있기 때문이죠.
원래 두 제품을 따로 샀더라면, 최저가로 6만 5천이 나오지만,
합본팩으로 사면 5만 6천원으로 만원 가까이 내릴 수 있습니다. ㅎㅎ

파워 : POWEREX 500W Triple
국민파워인 파워렉스 500 트리블입니다.
합본팩이기 때문에 구매한 것도 있지만, 아마 합본이 아니었더라도 구매했을 가성비 좋은 파워 중 하나입니다.
물론 그 밑의 가격으로도 파워는 많습니다. 뻥궁이라던가...
하지만, 안전성을 고려한 마지노선에서는 역시 파워렉스가 최곱니다. ㅋ

파워는 구매하실 때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 중 하나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과거 파워를 잘못구매해서,
거의 전 pc를 날려먹은 기억도 있습니다. ㅠㅠ
구매하실 때 최소한 4만원 이상 되는 파워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그냥 중저가 pc의 경우는 파워렉스 쓰면 무난하게 돌아갈 겁니다.)



제가 윈도우 7처음 깔아보는 바람에 잘 몰라서 그런지, 윈도우가 잘 되다가 갑자기 멈추는 현상으로 인해
2틀동안 3번 포맷했습니다. ㅠㅠ 지금은 소프트웨어 패치라던가 이것저것 알아봐서 어떻게 조치했지만,
제대로 된건지 모르겠네요. =0=
무사히 지금상태로 잘 정착됬으면 합니다. ㅎㅎ

덧글

  • liars 2013/01/17 13:36 #

    하드가....상당히..아름답습니다..
  • wheat 2013/01/17 13:48 #

    이제는 테라시대입니다 ㅋㅋ
  • unHDguy 2013/01/17 14:02 #

    odd는 안하시는것도...이젠 괜찮은듯 합니다.
  • wheat 2013/01/17 19:19 #

    제가 음반CD가 많아서, 필요합니다. ㅎㅎ
  • 셔먼 2013/01/17 14:13 #

    아아....하드가 매우 크고 아름답습니다....
  • wheat 2013/01/17 19:19 #

    하드는 자고로 커야 됩니다. ㅎ
  • Dustin 2013/01/17 15:05 #

    WD 캐비어 블루 1TB는 명품이더군요. 개인적으로 봤을 때 데이터 읽는 속도도 나쁘지 않고, 소리도 적고요.
  • wheat 2013/01/17 19:20 #

    예 아직가지 하드에서 별다른 소리가 없더군요 ㅎ
  • 앙고라시밤 2013/01/17 17:27 #

    30만원 선에서는 거의 최적의 견적인 것 같네요. 그것도 하드까지 1TB라면 어헣헣

    참고로 메모리는 DDR3 들어와서는 그냥 닥치고 삼성으로 대동단결입니다. 컴덕후도 삼성램이고 일반인도 삼성램이예요.
    지스킬이나 커세어 램 쓰는 사람들은 그냥 튜닝 취향인 사람들 ㅋㅋㅋ 진짜 컴덕 사이트에서의 인식도 그렇습니다 ㅋㅋㅋ
  • wheat 2013/01/17 19:20 #

    램은 삼성이죠!
  • jklin 2013/01/17 18:01 #

    메모리는 8기가도 괜찮을텐데요. 아님 나중에 돈모이면 8x2=16기가 업글도 괜찮겠죠.

    전 5년전에인가 산 core 2 duo 시피유 노트북에 메모리를 8기가 꽂았더니 아직 노트북 업글할 일이 없네요.

    AMD 시피유는 가격대 성능비에서 최강입니다. 데스크탑 조립하는데 인텔 시피유를 쓸 이유는 없습니다.

  • wheat 2013/01/17 19:21 #

    통장 잔고를 보면 2만5천원도 아까운 시기.
    나중에 성능에서 쪼들리면 살려고 합니다. 귀찮지 않으면 -_-;;
  • 계란소년 2013/01/17 19:26 #

    아무리 가난해도 야동은 모아야 한다!
  • wheat 2013/01/17 19:32 #

    !!!
  • 로미 2013/01/17 19:39 #

    ODD가 요즘에 와서는 정말 계륵같더군요.
    딱히 자주 쓰는건 아니지만 없으면 또 필요할때가 있고...
  • wheat 2013/01/17 21:15 #

    그래도 가끔씩 필요합니다. ㅎㅎ
  • 누군가의친구 2013/01/17 22:34 #

    저는 2TB짜리 외장형 하드를 달고 있지요.
  • wheat 2013/01/17 22:48 #

    ㅎㄷㄷㄷ
  • 크레이토스 2013/01/18 00:04 #

    음 저도 컴퓨터를 하나 맞추고 싶군요.
    배틀필드3 최고사양을 돌릴 수 있을 정도로 맞추고 싶지만...
    보니까 그러면 최소 160만원은 깨진다는 사실.
  • wheat 2013/01/18 00:38 #

    i5에 670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물론 저 두개만으로 거진 80은 되 보이지만 ㄷㄷ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이 이글루를 링크한 사람 (블랙)

159

통계 위젯 (블랙)

1250
199
1847113